반응형

2025/08/11 2

중성미자 천문학: 남극의 얼음으로 우주의 유령을 사냥하다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천문학: 남극의 얼음으로 우주의 유령을 사냥하다 (아이스큐브)중성미자(Neutrino)는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지만, 우리 존재를 비웃기라도 하듯 거의 모든 물질을 그대로 통과해 버리는 '유령 입자'입니다. 매초 수조 개의 중성미자가 우리 몸을 관통하지만, 우리는 전혀 느낄 수 없습니다. 이토록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유령 같은 입자로 어떻게 우주를 관측할 수 있을까요? 바로 이 불가능에 가까운 도전을 위해, 과학자들은 지구상에서 가장 춥고 외딴 곳, 남극점의 두꺼운 얼음판 아래에 인류 역사상 가장 기묘하고 거대한 망원경을 건설했습니다. 바로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IceCube Neutrino Observatory)'입니다. 이곳에서 과학자들은 1세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얼음 자체를 ..

우주 망원경의 역사: 대기 밖으로 나간 인류의 눈, 우주의 색을 되찾다

우주 망원경의 역사: 대기 밖으로 나간 인류의 눈, 우주의 색을 되찾다수천 년 동안 인류는 지구라는 거대한 우주선의 창문을 통해서만 우주를 바라보았습니다. 하지만 이 창문은 완벽하게 투명하지 않았습니다. 바로 지구 대기라는, 끊임없이 흔들리고 특정 색깔의 빛을 가로막는 두꺼운 필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대기의 방해는 지상 망원경이 아무리 커지고 정교해져도 결코 넘을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였습니다. 20세기 중반, 인류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역사상 가장 대담한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바로 망원경 자체를 대기 밖, 즉 우주 공간으로 쏘아 올리는 것이었습니다. 이 '우주 망원경'이라는 위대한 발상은, 우리에게 익숙한 가시광선 우주의 선명한 모습을 보여준 '왕' 허블(Hubble), 우주의 가장 뜨겁고 ..

반응형